실업급여 조건 실수령금액 계산기 (고용보험)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찾아온 정보와 공감을 드리러 찾아온 "로소코"입니다.
오늘은 퇴사하신후 다음 직장까지 구직활동을 지원하는 실업급여를 계산하는 방법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조건
간략히 정리하면 고용보험에 가입되어있고 자발적으로 퇴사를 하지않은 경우 지급을 받게되는게 실업급여 입니다.
실업급여는 최대 8개월까지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급하며 실직자가 재취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의 수급조건은 실직전 18개월중 180일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받을수 있으며
적극적인 재취업의 노력을 해야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이런 실여급여의 신청방법은
먼저 재직했던 직장에 [근로복지공단]으로 이직확인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를 접수해달라고 요청합니다.
둘째, 고용보험 홈페이지를통해 이직확인서 처리가 잘되었는지 확인후 워크넷을통해 구직등록을한후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수급자 온라인 교육]을 이수하면 됩니다.
자, 그럼 우리가 받아야할 실업급여의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해볼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ei.go.kr/ei/eih/cm/hm/main.do
고용보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메인 페이지 우측하단에 보시면 [실업급여 간편 모의계산]안내가 있고 우측으로 실업급여 모의계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모의곗산기 입니다.
실업급여모의 계산은 실제 수령액과 차이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네모칸안의 정보를 본인의 정보에 맞게 입력하시면 되는데요. 저희도 가상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먼저 나이를 설정하고 고용보험에 가입된 총기간을 입력 하시면 됩니다.
설정한 총근무기간중 월급여액을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저희는 예로 200만원씩 설정하겠습니다.
80년생이 2017년1월 부터 2017년 12월까지 월200만원의 급여를 받았을때 실업급여계산 결과입니다.
각종문의나 교육을 받아야할 고용보험센터의 위치나 정보도 중요하겠죠? 해당지역의
고용보험센터를 찾아보려면 실업급여모의계산 페이지 하단부분에 센터찾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주소검색으로찾기 탭을 클릭하신후 조회하시려는 센터의 주소나 지역의 주소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정확한 센터의 주소를 알고있지 않다면 조회해 보시려는 지역의 시와 도만 입력하셔도 안내가 된답니다.
해당센터를찾으셨다면 우측에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해당센터의 소재지와 전화번호 찾아오시는길등등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항상 공유와 공감을 함께하는 "로소코"였습니다.